공간계획
01
공간계획
육상 및 해양 공간계획을 통해 생물다양성 보전 및 지속가능 이용을 위한 효과적 관리 체계를 마련하고 생물·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에 대한 손실을 막는다.
세부실천목표
-
1-1공간계획 內 생물다양성 고려 강화
-
1-2생물·생태적 중요지역 평가체계 고도화
지표
- 핵심 생태계적색목록 준비중
- 생태계적색목록
(Red List of Ecosystems) - 생태계별 면적 변화와 온전성(종 풍부도, 오염물질량 변화 등)을 기반으로 산출된 생태계 위협 지수[수치]
- 핵심 자연생태계 면적 준비중
- 자연생태계 면적
(Extent of natural ecosystems) - 자연생태계 유형별 면적의 시계열적 변화 측정[km2, %]
- 핵심 생물다양성 포함 공간계획이 적용된 육지·바다 비율 준비중
- 생물다양성 포함 공간계획이 적용된 육지‧바다 비율
(Percent of land and seas covered by biodiversity-inclusive spatial plan) - -
- 메타데이터 | https://www.gbf-indicators.org/metadata/headline/1-1
- 데이터 | -
지표명 |
|
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글로벌 정의 |
|
||||||||
글로벌 평가 방법 |
|
||||||||
글로벌 산식 |
RLIE: 생태계적색목록 지수 (Red List Index of Ecosystems)n : 평가되는 생태계 수, Wc(i,t) : t 시간에 i 유형의 생태계 적색목록 순위, Wco·n : 최대 위험도 |
||||||||
글로벌 지표 가용 현황 |
| ||||||||
글로벌 지표 링크 | |||||||||
담당 부처 |
|
||||||||
참고누리집 |
|
지표명 |
|
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글로벌 정의 |
|
||||||||
글로벌 평가 방법 |
|
||||||||
글로벌 산식 |
|
||||||||
글로벌 지표 가용 현황 |
| ||||||||
글로벌 지표 링크 | |||||||||
담당 부처 |
|
||||||||
참고누리집 |
|
지표명 |
|
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글로벌 정의 |
|
||||||||
글로벌 평가 방법 |
|
||||||||
글로벌 산식 |
|
||||||||
글로벌 지표 가용 현황 |
| ||||||||
글로벌 지표 링크 |
|
||||||||
담당 부처 |
|
||||||||
참고누리집 |
|